기계학습, 인강, 인공지능 스터디에서는 어떤 것을 배웠나요?
데이터마이닝 수업에서는 어떤 것을 배웠나요?
기계학습 학점이 낮은데 이유가 있나요?
챗봇 개발 프로잭트에서는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것을 배웠나요?
디자인 패턴이란 무엇인가요?
DEVOPS란?
평균, 표준편차, 분산의 의미는?
MSE, RMSE 란?
공분산이란?
bias와 variance의 차이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세요
빅데이터란?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설명하고, 대표적인 알고리즘 설명하세요
머신러닝의 종류란?
앙상블이란?
Voting이란?
Bagging은?
boosting
stacking
optimizer란?
마진이란?
sklearn이란?
tansorflow란?
하이퍼파라미터란?
numpy란?
pandas란?
과적합이란?
과적합을 막기위해 할 수 있는 조치는?
Nomalization이란?
혼동행렬이란?
상관계수의 의미란?
Training set, validation set, test set 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Loss function, Cost function이란?
Gradient Descent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activiation 함수가 뭔가요?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란?
인공지능 기반 차종 분류기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산학실전캡스톤에서는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것을 배웠나요?
추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Covolution layer란?
Pooling layer 란?
flatten layer, dense layer 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해주세요
activiation 함수는 어떤걸 사용했나요?
어떤 optimizer를 사용했나요?
어떤 Loss를 사용했나요?
왜 tensor flow를 사용했나요?
SPARK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python의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에 대한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
list와 tuple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왜 tuple이 list보다 빠를까요?
파이썬은 메모리 할당을 어떻게 할까요?
메모리 할당 해제하는 로직을 설명해주세요.
메서드란?
가비지 콜렉터란?(GC)
파이썬에서 class, object, instance를 구분해서 설명해주세요.
self는 무엇인가요?
생성자란 무엇인가요?
파이썬 모든 것이 객체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int 변수도 객체인가요?
immutable과 mutable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immutable과 mutable 둘 다 값이 변했을 때 메모리 주소는 어떻게 되나요?
얕은 복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슬라이싱의 특수한 경우는 무엇인가요?
깊은 복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list의 extend와 append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list의 extend와 + 연산자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python에서 슬라이싱이란 무엇인가요?
pass와 continue의 차이에 대해서 아시나요?
try/except/finally란?
파이썬 애플리케이션에서 버그를 찾거나 정적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은?
파이썬의 데코레이터를 아시나요? 안다면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데코레이터를 왜 쓴다고 생각하시나요?
람다의 실행 시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그렇다면 함수와 다른게 뭐죠?
파이썬에서 switch/case 문을 사용해 본적이 있나요?
파이썬과 C++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절차지향이란?
장점
단점
객체지향이란?
오버로딩, 오버라이딩이란?
버추얼 (가상함수) 관련해서 설명해보세요.
OS(운영체제)란?
커널이란?
커널모드란?
쉘이란?
메모리의 구조를 영역에 따라서 설명해보세요.
힙과 스택 영역의 차이는?
메모리의 힙 영역을 너무 크게 잡으면 생기는 일은?
프로세스와 스레드 차이
컨텍스트 스위칭이란?
프로세스 제어 블록이란(PCB)?
크롬 브라우저에서 한 탭에 오류가 생겨도, 다른 탭은 괜찮음. 그렇다면 각각의 탭은 프로세스일까요? 쓰레드일까요?
멀티 테스킹이란?
멀티쓰레드와 멀티 프로세스 차이는?
쓰레드마다 독립적으로 할당하는 2가지는?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의 주의해야 할 점은?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는?
Blocking과 Non-Blocking이란?
프로세스의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Race condition과 Critical section이란?
경쟁상태를 막기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DeadLock(교착상태)와 해결방법에 대해 설명하세요.
식사하는 철학자에서 Deadlock이 언제 발생하고 해결 방법은?
뮤텍스와 세마포어는 무엇인가요?
CPU 스케줄링이란? 종류는?
CPU 성능 척도는 무엇이 있나요?
선점, 비선점이란?
동시성과 병렬성이 어떻게 다른가요?
Interrupt(인터럽트란?)
System Call 이란?
메모리의 종류와 왜 종류가 여러가지인지 설명하세요
OS가 메모리 관리를 해야하는 이유와 사용하는 전략은?
메모리의 fit종류 4가지는?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내부단편화, 외부단편화란?
가상 메모리란?
요구 페이징이란? (Demand Paging)
Page교체가 언제 발생하고, 어떤 알고리즘이 있나요?
쓰레싱이란?
메모리가 고갈되면 일어나는 현상은?
캐시는 왜 사용하고, CPU의 적중률을 높이는 방법은?
DMA(direct Memory Access)란?
메모리 할당 중, 연속과 불연속 방식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멀티프로세스, 멀티스레드 장단점
깃허브에서 충돌이 일어나면 어떻게 해결했나요?
소프트웨어 방법론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컨테이너란?
쿠버네티스란?
도커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컴파일러 최적화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5G란?
반도체 8대 공정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빅데이터개론에서는 어떤것을 배웠나요?
Array와 LinkedList가 각각 무엇인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주세요.
Stack과 Queue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 어디에 사용되었는지 설명해주세요.
Priority Queue가 무엇이고,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나요?
그렇다면, Heap이 무엇인지 , 삽입 및 삭제시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할 수 있나요?
해시 테이블(Hash Table)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
Hash Collision (해시 충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나요? 해결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체이닝 방식과 개방주소법의 장단점을 비교해주세요.
BST (Binary Search Tree)와 BST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나요?
BST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AVL 트리는 무엇인가요?
트리와 그래프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
이진트리의 전위 / 중위 / 후위 순회가 무엇인가요?
동적 계획법(DP, Dynamic Programming)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동적 계획법(DP, Dynamic Programming)이 갖는 2가지 조건은 무엇인가요?
버블 정렬(Bubble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선택 정렬(Selection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삽입 정렬(Injection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힙 정렬(Heap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병합 정렬(Merge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퀵 정렬(Quick Sort)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Big-O 표기법의 시간 복잡도 크기 순서를 말해주세요.
O(1) < O(log N) < O(N) < O(N log N) < O(N^2) < O(2^N) < O(N!)
허프만 코딩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재귀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이분 탐색(Binary Search)이란?
시간 복잡도
전체 탐색: O(N)
이분 탐색: O(logN)
DFS & BFS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BMS가 무엇인지, DB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주시겠어요?
DB에서 '스키마'가 무엇일까요?
DB에서 '뷰'는 무엇인가요?
DB에서 사용하는 '키'에 대해 설명하고, 키의 종류에 대해 설명이 가능할까요?
트랜잭션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트랜잭션의 상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트랜잭션의 격리수준에 대해 말해주세요.
트랜잭션의 연산 중, Commit과 Rollback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B에서 동시성 제어란 무엇일까요?
DB Lock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무결성이 무엇인지, 무결성 제약 조건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JOIN은 어떨 때 사용하는 것인지 설명해주세요.
Inner join과 Outer join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Group By의 역할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ELETE, TRUNCATE, DROP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트리거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DML, DDL, DCL이 각각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DB 인덱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해시 인덱스 방식과 B+ 트리 인덱스 방식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정규화를 왜 하는지, 각 정규화 단계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정규화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역정규화(반정규화)는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Connection Pool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RDB와 NoSQL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실 수 있나요?
Redis의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B 클러스터링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B 레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수직 파티셔닝과 수평 파티셔닝(샤딩)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SQL Injection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ORM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OSI 7 Layer의 각 계층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전송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모두 신뢰성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전송계층이 데이터 분실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전송계층이 제공하는 신뢰성 관련 기능 중, 흐름제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전송계층이 제공하는 신뢰성 관련 기능 중, 오류제어(재전송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전송계층이 제공하는 신뢰성 관련 기능 중, 혼잡제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DNS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http://www.google.com도메인을 브라우저에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일을 순차적으로 설명해주세요.
TCP Connection 시 3-way handshaking을 한다고 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주시겠어요?
그렇다면 TCP Connection을 해제하는 경우는 어떻나요?
연결해제 시 4-way handshacking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렇다면, Server가 Client에게 FIN 플래그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한 패킷이 지연이나 유실로 인해 재전송이 일어나 FIN 패킷보다 늦게 도착하면 어떻게 처리를 하나요?
포트가 무엇이고, 소켓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TCP와 UDP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HTTP의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HTTP와 HTTPS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HTTP의 Keep-alive 헤더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REST API와 RESTful 하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쿠키와 세션이 왜 필요한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주세요.
URI와 URL이 무엇이 다른지 설명해주세요.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나요?